분류 전체보기
-
Vue.js 문법 - 컴포넌트 기초Vue/Vue.js 문법 2021. 7. 16. 00:52
컴포넌트 - 컴포넌트는 이름이 있는 재사용 가능한 인스턴스 예제 App.vue MyBtn.vue Apple 결과 컴포넌트 재활용 App.vue 결과 코드 이해하기 - 버튼 여러개가 화면에 출력 - 한번 만들어놓은 컴포넌트(Mybtn.vue)를 재활용 Props - 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props 가 등장 - Props 는 컴포넌트에 등록할 수 있는 커스텀 속성 - 값이 props 속성에 전달되면, 그 값은 해당 컴포넌트 인스턴스의 속성이 됨 - 부모 컴포넌트와 자식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 통신 방법 이라고도 부름 예제1 - 데이터 전달 App.vue MyBtn.vue Apple 결과 예제2 - 클래스 추가 App.vue MyBtn.vue Apple 결과 예제3 - Slot - 컴포넌트 사이에 ..
-
Vue.js 문법 - v-model 수식어Vue/Vue.js 문법 2021. 7. 15. 23:11
v-model 수식어 .lazy .number .trim .lazy {{ msg }} 코드 이해하기 -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 예제 - @change 이벤트는 값이 바뀌고 나서 동작, 완료가 되어야 동작 - v-model 에서는 @change 이벤트를 .lazy 수식어로 사용 .number {{ msg }} 코드 이해하기 - input 요소에다가 입력 해야 하는 데이터가 숫자 데이터를 유지해야 한다면 .number 수식어를 사용 .trim {{ msg }} 코드 이해하기 - 앞쪽과 뒤쪽의 공백을 항상 제거한 상태로 유지
-
Vue.js 문법 - 폼 입력 바인딩Vue/Vue.js 문법 2021. 7. 15. 20:44
단방향 데이터 바인딩(연결) {{ msg }} 코드 이해하기 - data() 부분에 msg 데이터를 input 요소에 value라는 속성에 연결 - 추가로 h1 요소에 콘텐트 (content)로도 연결하여 화면에 출력 - 데이터 부분에서 HTML (template) 방향으로만 흐른다 (연결되어 있다) - 이러한 개념을 단방향 데이터 바인딩 이라고 부름 - 그렇기 때문에 input 요소를 수정하여도, 수정된 내용이 data의 msg 데이터를 갱신하지 않음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 {{ msg }} 코드 이해하기 - @input 이벤트는 input 요소에 데이터가 입력되면 handler() 동작 - handler() 는 input 요소에 데이터를 가져와서 msg 데이터를 갱신 - 갱신된 msg 데이터는 연결된 ..
-
Vue.js 문법 - 키 수식어Vue/Vue.js 문법 2021. 7. 15. 19:27
키 수식어 - Vue에서 키 이벤트를 청취할 때 수식어로 v-on 또는 @ 를 더할 수 있다 - 체이닝이 가능하다 - keyboardEvent.key 를 통해 노출된 유효 키 이름을 케밥 케이스로 변환하여 수식어로 사용할 수 있다 키 명령어 - Vue는 자주 사용하는 키 명령어를 제공 .enter .tab .delete (“Delete” 와 “Backspace” 키 모두를 캡처합니다) .esc .space .up .down .left .right
-
Vue.js 문법 - 이벤트 수식어Vue/Vue.js 문법 2021. 7. 15. 02:28
이벤트 수식어 - 이벤트 핸들러 내부에서 event.preventDefault() 또는 event.stopPropagation()를 호출하는 것은 매우 보편적인 일 - 메소드 내에서 쉽게 이 작업을 할 수 있지만, DOM 이벤트 세부 사항을 처리하는 대신 데이터 로직에 대한 메소드만 사용할 수 있으면 더 좋습니다. -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, Vue는 v-on이벤트에 이벤트 수식어를 제공, 수식어는 점으로 된 접미사 .stop .prevent .capture .self .once .passive ... ... ... 이벤트 버블링 결과 코드 이해하기 - 파란 박스 (parent)를 클릭하면 handlerA() 동작 - 오렌지 박스 (child)를 클릭하면 handlerB() 동작, 이후 부모 요소 h..
-
Vue.js 문법 - 이벤트 핸들링Vue/Vue.js 문법 2021. 7. 14. 23:40
이벤트 청취 v-on 디렉티브는 Dom 이벤트를 듣고 트리거 될 때와 JS를 실행할 때 사용 v-on:click="methodName" 줄여서 @click="methodName" 으로 사용 메소드 이벤트 핸들러 Greet Vue.createApp({ data() { return { name: 'Vue.js' } }, methods: { greet(event) { // 메소드 안에서 사용하는 `this` 는 Vue 인스턴스를 가리킵니다. alert('Hello ' + this.name + '!') // `event` 는 네이티브 DOM 이벤트입니다 if (event) { alert(event.target.tagName) } } } }).mount('#event-with-method') - 클릭이라는 이벤트..
-
Vue.js 문법 - 리스트 렌더링Vue/Vue.js 문법 2021. 7. 14. 15:20
v-for - v-for 디렉티브를 사용하여 배열을 기반으로 리스트를 렌더링 - item in items 형태로 특별한 문법이 필요 - items는 원본 데이터 배열, item은 반복되는 배열 엘리먼트의 별칭 예제1 {{ fruit }}-{{ index }} 결과 예제2 {{ fruit.name }} 코드 이해하기 - computed 속성을 통해 정렬된(계산된) 배열을 반환 - 배열 데이터 내부에는 객체 데이터 (id, name)가 들어있음 - :key 값으로 배열의 아이템을 구분 가능한 고유한 속성(id)을 부여 shortid 패키지 # 각각의 아이디를 고유하게 만들어주는 패키지 $ npm i -D shortid 예제3 {{ fruit.name }}-{{ fruit.id }} 결과 객체 구조 분해 {{..
-
Vue-js 문법 - 조건부 렌더링Vue/Vue.js 문법 2021. 7. 14. 15:11
v-if - v-if 디렉티브는 조건에 따라 블록을 렌더링할 때 사용 - 블록은 디렉티브의 표현식이 true 값을 반환할 때만 렌더링 Vue is awesome! Vue is awesome! Oh no 😢 예제 Click me! Hello?! Good~ 코드 이해하기 - 처음에는 태그 (Click me!)와 태그 (Hello?!)가 화면에 출력 - 버튼 (Click me!)을 누르면 메소드 handler()가 동작 - hendler() 메소드는 isShow 데이터가 true면 false, false면 true로 변경 - isShow가 false 이므로 (Hello?!)는 (Good~)으로 변경 결론: 버튼을 누르면 (Hello?!)일때는 (Good~), (Good~)일때는 (Hello?!)로 변경됨 v-..